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GDN입니다.
회사 주거래 은행이 KEB하나은행이라서
저는 지금까지 KEB하나은행에서 월급통장, 입출금통장, 정기적금, 정기예금을 들었었는데요.
올해부터는 카카오뱅크를 이용해볼까 합니다. 입출금 통장이랑, 월급통장은 그대로 두고요.
적금이나 정기예금 이율이 좋더라고요 :)
또 몇개월 이용해보니 편리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그 중 오늘은 카카오뱅크 자유적금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카카오뱅크 자유적금은 말 그대로 은행 적금인데요. 다른 시중은행과 똑같은 적금입니다.
다만 다른은행보다 가지고 있는 장점이 많은데요.
여러가지 장점 중 4가지를 뽑아보았습니다.
1. 간편한 계좌 개설!!
적금 계좌 개설이 정말 간편합니다.
10번 정도의 터치로 적금 계좌를 만들 수 있더라고요. 개설 시간의 제약도 없고요.
은행 창구에 가거나 고객센터에 전화할 필요 없이 내가 원하는 시간에 간편하게
적금 계좌를 만들 수 있는 거죠. 하지만 개설이 쉬운만큼 해지도 쉬운 단점이 있더라고요.
그래도 편하게 적금 계좌를 만들 수 있으니 ㅋㅋ 편한 게 최고 아니겠어요? :)
2. 높은 이율!
카카오뱅크 자유적금의 이자율은 1년 기준(세전)연 2.5%입니다.
여기에 자동이체 시 연 0.20%(세전)의 이자를 추가로 지급하죠.
그래서 자동이체 시 총 2.7%라는 높은 이율을 보여주는데요.
다른 은행에도 이 정도 수준 혹은 더 높은 이율을 제공하는 적금 상품도 많지만
저축액 한도가 현저히 낮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월 30만원 혹은 50만원 한도 수준이죠.
하지만 카카오뱅크 자유적금의 월 저축액 한도는 300만원으로 상당히 많은 금액을 넣어도
2.5% 혹은 2.7%의 이율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라고 할 수 있죠.
아마 1 금융권에서 이 정도 이율은 없지 않을까 싶어요 ㅎㅎ
3. 만기일 설정을 내 마음대로!
지금까지의 보통 적금의 경우 만기일이 계좌 개설일로부터6개월, 1년, 2년, 3년으로
딱 정해져 있었는데요..
카카오뱅크의 자유적금은 만기일 설정을 6개월 이상부터는 마음대로 할 수 있습니다.
정말 놀랍지 않은가요? 저만 놀랐나요..? ㅋㅋ
저의 경우 자금운용계획에 맞게 만기일을 맞춰서 설정할 수 있다는 생각에
정말 유용한 옵션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기존 적금의 경우 6개월 혹은 1년 가입해두고 중도해지를 하거나 종잣돈을 CMA에 넣어두고
계획에 맞춰서 자금을 사용하다 보니 이자를 온전히 다 받지 못한 경우가 많았었는데요.
만기일 설정 기능을 통해 앞으로는 이런 불상사가 생길일이 없어져버렸습니다 :)
4. 정말 급할 땐 긴급 출금!!
우리 인생은 한 치 앞도 모르죠? 카카오뱅크는 이런 부분까지 신경을 쓴 것 같습니다.
바로 긴급 출금 기능인데요.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는지 이제는 신기할 정도입니다.
급하게 돈이 필요하면 적금을 해지할 필요 없이 긴급 출금을 사용하면 되니
앞으로 적금 해지할 일이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ㅎㅎ
최대 2회까지 가능하고요. 긴급 출금한 금액은 중도해지 금리로 이자가 지급된다고 하네요 :)
자 이렇게 카카오뱅크 자유적금 장점 4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적다 보니 거의 카카오뱅크 홍보를 해버린 것 같네요... ㅋㅋ
카카오뱅크에게 받은 거 하나 없으니 믿고 보셔도 됩니다 :)
그럼 여러분께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고요. 공감과 댓글, 구독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급으로 1억 종잣돈 모으기] #3 재무상황을 정확히 분석하고 파악하기 (0) | 2019.03.31 |
---|---|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카카오뱅크 체크카드 혜택 총정리! (0) | 2019.03.30 |
[월급으로 1억 종잣돈 모으기] #2 나의 재무상황 분석과 목표설정 예시 (0) | 2019.03.29 |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카카오뱅크 예금/적금 금리 비교 (0) | 2019.03.28 |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카카오뱅크 자유적금 계좌 개설방법 (0) | 2019.03.27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