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재테크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으신 분들은 통장 쪼개기에 대해서 정말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번에는 효율적으로 종잣돈을 모으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통장 쪼개기를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통장 쪼개는 방법도 사실 사람마다 다 달라서 정답이 없습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게 쪼개시면 되는데요.
이렇게 말씀드리면 너무 무책임한 거 같아서 예시로
저만의 통장 쪼개기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드리려고 합니다.
우리의 수입과 지출은 크게 고정수입, 고정지출(저축 포함), 비정기 수입, 비정기 지출 4가지로 나뉜다고
말씀드린 적이 있었는데요. 이 4가지를 적절하게 나누시면 됩니다.
바로 월급통장, 지출통장, 적금통장, 비상금 통장입니다.
한 달에 약 270만 원의 월급(고정수입)이 월급통장에 들어오면
70만 원(고정지출)을 지출통장으로 옮기고, 나머지 200만 원(저축)은 적금통장으로 넣었죠
월급이 270만 원보다 조금 더 들어온 경우(비정기 수입)에는 모두 비상금 통장으로 넣어뒀습니다.
경조사비나 병원비(비정기 지출)는 비상금 통장에서 충당했죠.
도식화에서 나타내면 아래 그림과 같게 됩니다.
그림으로도 쉽게 이해가 가실 테지만 설명을 좀 드리겠습니다.
월급통장은 고정수입만 확인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지출통장은 한 달 동안의 지출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든 거고요.
지출통장으로 한 달 핸드폰 요금, 관리비, 보험료, 데이트 비용, 생활비 등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죠.
적금통장은 아시겠지만 적금을 넣는 통장이죠. 매월 200만 원씩 빠지지 않고 넣는 게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비상금 통장은 비정기적인 수입과 지출이 들어가고 나가는 통장입니다.
급하게 돈이 필요한 경우나 예상하지 못한 지출이 발생한 경우에 비상금 통장에서 돈을 빼서 쓰는 거죠.
설명을 보시면서 느끼셨겠지만
우리의 수입과 지출이 각각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장 쪼개기를 하면 돈이 효율적으로 관리가 됩니다.
같은 수입과 지출인 것 같지만 고정적인지 비정기적인지에 따라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것이죠.
이 외 또 다른 성격을 가진 수입이나 지출내역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축/투자 통장을 여러 개 관리하시는 분도 계실 수 있겠죠.
각자 맞는 방식으로 통장을 쪼개시면 됩니다. 앞서도 말씀드렸지만 쪼개기 나름입니다 ㅎㅎ
다만 제가 한 방법처럼 최소 4가지로는 구분을 해주셔야 효율적인 관리가 되실 거예요.
월급통장과 적금통장 2가지로 나누게 되면 고정지출과 비정기지출의 관리가 어려워서
한 달에 계획한 지출보다 더 쓰는 경우가 꼭 생기더라고요.
여러분들은 그런 일이 없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로 문의하세요.
공감, 댓글, 구독은 이 블로그를 지속시키는 힘입니다 :) 감사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급으로 1억 종잣돈 모으기] #5 적금 기간은 1년이면 충분하다 (0) | 2019.04.03 |
---|---|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카카오뱅크 입출금 계좌 개설방법 (0) | 2019.04.02 |
[월급으로 1억 종잣돈 모으기] #3 재무상황을 정확히 분석하고 파악하기 (0) | 2019.03.31 |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카카오뱅크 체크카드 혜택 총정리! (0) | 2019.03.30 |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카카오뱅크 자유적금 4가지 장점! (0) | 2019.03.29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