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재테크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한번쯤 "펀드"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사실 재테크에 관심이 없어도 펀드라는 말을 모를 수가 없죠. 그만큼 우리나라에서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의 수단으로 펀드를 이용하고 있는데요. 저도 펀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우리가 지금까지 많이 들어온 펀드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합니다.
펀드의 개념
펀드(Fund)는 무엇일까요? 영어사전에서 펀드는 "특정목적을 위한 기금"이라고 되어있네요. 풀어서 이야기하면 어떠한 목적을 위해 모여진 돈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불우이웃을 돕기 위한 자선모금이나 장학금 지급을 위한 모금도 큰 의미에서 펀드라고 할 수 있죠. 투자의 의미로 좁혀보면 펀드는 "투자수익을 목적으로 모여진 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펀드는 투자자들로부터 모은 자금을 자산운용회사가 주식이나 채권등에 투자하여 얻은 수익을 돌려주는 방식의 간접투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식과는 반대로 펀드는 내가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자산운용회사라는 투자전문가가 효율적으로 투자를 진행하기때문에 비교적으로 안정적인 수익과 높은 수익률을 기대 할 수도 있습니다.
펀드의 종류
펀드는 정말 다양한 종류의 펀드가 있습니다. 종류가 워낙많기 때문에 두가지로 분류하여 이야기해볼까합니다.
첫번째는 투자 대상에 따른 분류입니다. 펀드 투자 대상에 따라 크게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으로 나뉘는데요.
쉽게 말해 주식형은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이고, 채권형은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 혼합형은 주식과 채권 모두에 투자하는 펀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흔히 주식보다 채권이 더 안전하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위험도를 따져보면 주식형>혼합형>채권형 순으로 이루어집니다. 물론 기대수익률 또한 주식형>혼합형>채권형 순으로 이뤄지죠.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을 기억하세요.
두번째는 투자 방식에 따른 분류입니다. 펀드 투자 방식에 따라 크게 거치식 펀드, 적립식 펀드로 나뉩니다. 거치식은 일정금액을 정기예금처럼 정해진 기간 동안 거치하여 만기일에 수익률을 지급받는 방식이고, 적립식은 정기적금처럼 매월 정해진 날에 정해진 금액을 납입하여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거치식, 적립식 뭐가 더 좋고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초보투자자들에겐 적립식 펀드를 많이 추천하고 있습니다.
펀드의 장점과 단점
펀드는 내가 직접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전문가가 투자를 대신해주기때문에 안정적이면서 높은 수익률 까지 보장해줄것만 같은 투자상품이지만 장점과 단점이 공존하고 있어 신중하게 선택해야하는 투자상품입니다.
우선 펀드의 장점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는 투자전문가에 의해 관리 및 운영된다는 점입니다.
주식투자를 해보신 분들은 아실겁니다. 내가 산 주식은 떨어지고 내가 판 주식은 오르는 신기한 현상을 말이죠. 또 주식투자를 위해 우리는 수많은 투자서적을 읽어야하고 기업의 재무재표나 실적보고서까지 볼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주식시장에서 어느정도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펀드매니저는 초보투자자들에 비해 투자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어서 확률적으로 우리보다 높은 수익을 실현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투자금을 투자전문가에게 맡겨서 투자에 대한 고민과 걱정을 덜어주기도 합니다.
두번째는 소액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펀드는 주식이나 부동산보다 소액으로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펀드투자를 위해 한주에 200만원씩하는 주식을 사야한다거나 한채에 2억~3억하는 집을 사야할 필요가 없죠. 그저 내가 투자하고 싶은 만큼의 돈을 가지고 펀드상품에 가입하면 됩니다. 물론 소액으로 투자하면 수익금액이 크진 않겠지만요. 또한 분산투자가 가능합니다. 펀드매니저는 투자자들에게서 모은 투자금을 여러 주식이나 채권에 분산투자를 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투자의 안정성을 높힐 수 있는데요. 투자자들이 투자한 금액에 상관없이 자동으로 분산투자가 되는 것이죠. 그래서 주식보다 펀드가 좀 더 안전한 투자처가 될 수 있는 것이죠.
마지막 세번째는 바로 예/적금 보다 높은 수익률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예/적금 이율은 약 2%대에 머물고 있는데요. 그에 반해 펀드는 수익률이 20% 혹은 그 이상인 상품도 있습니다. 수익률이 연 20%일 경우 1,000만원을 1년간 투자한다면 약 200만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과 펀드수수료와 보수 등의 추가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펀드가 높은 수익을 가져다 줄 것 같지만 수수료나 보수등의 비용이 크다면 생각보다 수익이 적어 질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우리는 펀드를 선택할 때 신중해야하는 것입니다.
자 이렇게 펀드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펀드가 가지고 있는 장점도 있도 단점도 있지만 제가 생각하기에 펀드는 초보투자자가 접근하기에 가장 좋은 투자상품이 아닐까 싶습니다. 원금손실의 가능성이 있기는 하지만 투자라는 것이 원래 리스크를 안고 가는 것이고 그 외적으로 소액/분산투자가 가능하다는 점과 고도의 투자지식 없이 본인에게 맞는 펀드를 고를 수 있다는 점 때문입니다.
펀드에 대해 궁금하셨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나도 도전!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챌린지 (0) | 2019.04.06 |
---|---|
[월급으로 1억 종잣돈 모으기] #7 주거래은행! 단골집을 만들자 (0) | 2019.04.05 |
[월급으로 1억 종잣돈 모으기] #6 하루 용돈을 정해서 생활하기 (0) | 2019.04.04 |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어요 (0) | 2019.04.03 |
[월급으로 1억 종잣돈 모으기] #5 적금 기간은 1년이면 충분하다 (0) | 2019.04.03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