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오늘은 카카오 뱅크에서 제가 정말 잘 활용하고 있는 세이프 박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카카오 뱅크 전까지 하나은행 밖에 몰랐던 저... ㅎㅎ
카카오뱅크 세이프 박스 덕분에 자금관리가 전보다 훨씬 편해졌는데요.
이렇게 좋은걸 이제 알았다니요 ㅠ 카카오뱅크 생기자마자 갈아탈걸 그랬나 봅니다.. ㅎㅎ
카카오 뱅크는 어떻게 이런 아이디어를 생각해냈는지 정말 신기하네요 ㅋㅋ
여러분도 이 글을 다 보시고 꼭 한번 써보시길 추천드리겠습니다.
세이프박스? 여유자금을 지켜주는 계좌 속 금고!
세이프박스에 대해 처음 들어보시는 분들이라면 조금 생소하실 수도 있는데요.
카카오뱅크에서는 세이프 박스를 "여유자금을 지켜주는 계좌 속 금고"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세이프박스가 왜 계좌 속 금고인 걸까요?
우선 세이프박스에 보관된 금액은 자동이체, 계좌이체, 현금인출이 불가합니다.
말 그대로 금고에 돈을 넣어주고 금고를 잠가 버리는 거죠.
아마 이 기능 때문에 카카오뱅크에서도 계좌 속 금고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나 싶네요.
세이프박스는 금고이긴 금고인데 우리에게 이자까지 주는 아주 좋은 금고입니다 :)
세이프박스 보관 금액의 경우 세전 연 1.2% 이율로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습니다.
CMA처럼 매일 이자를 붙여주는 거죠. ㅎㅎ 카카오뱅크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최대 1,000만 원까지 보관이 가능한데요.
여유자금을 보관해야 하는데 정기예금은 조금 부담스럽다면 세이프박스를 이용하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하지만 단점이 있습니다. CMA는 이자가 매일매일 들어오는데요.
그에 반해 세이프박스는 매월 네 번째 금요일에 결산을 해서 그다음 날 들어오더라고요.
CMA 통장에서 매일매일 이자가 쌓이는걸 보는 재미가 있었는데 세이프박스는 그렇지 못해서 아쉽네요. ㅠ
세이프 박스에 대해 다시 정리해보면
- 연 이율 1.2%(세전)
- 매일 이자 계산(매월 네 번째 금요일 기준으로 결산, 토요일 이자지급)
- 최대 1,000만 원 까지 보관 가능
- 세이프박스 보관 금액은 자동이체, 계좌이체, 현금인출 불가
- 카카오뱅크 입출금통장 보유 고객에 한해 세이프박스 이용 가능
- 1인당 세이프박스 1개 보유 가능
- 보관 금액은 언제든지 변경 가능
나만의 세이프박스 활용법! 비상금 통장으로 활용하기
저는 세이프박스를 비상금통장으로 활용하고 있어요.
세이프박스를 알기 전엔 CMA 통장을 비상금 통장으로 사용했었습니다.
CMA 통장에 비상금을 넣어두고 매일매일 이자를 받고 필요할 때 꺼내서 사용했었는데요.
CMA는 증권사 계좌다보니 현금인출기에서 입출금이 좀 번거롭고
폰뱅킹 송금할때도 증권사 어플을 켰다가 은행 어플을 다시 켜서 확인해야 하는 귀찮음이 있었죠.
그런데 세이프박스는 CMA 통장을 완전히 대체하는 상품인 데다
카카오뱅크 어플 하나로 용돈, 적금, 비상금까지 전체 자금 관리를 한번에 할 수 있으니
망설임 없이 비상금 통장을 CMA에서 세이프박스로 바꾼 거죠.
제 생각에는 세이프박스가 금고의 성격이 강하다 보니 비상금(여유자금)을 보관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 같아요.
이렇게 오늘은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돈 관리하는데 정말 꼭 필요한 상품인 거 같지 않나요?
여러분들도 세이프박스로 더 효율적으로 돈 관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댓글로 부탁드리겠습니다. 댓글, 공감, 구독은 이 블로그를 지속하는 힘입니다.
감사합니다.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펀드란 무엇인가? (0) | 2019.04.04 |
---|---|
[월급으로 1억 종잣돈 모으기] #6 하루 용돈을 정해서 생활하기 (0) | 2019.04.04 |
[월급으로 1억 종잣돈 모으기] #5 적금 기간은 1년이면 충분하다 (0) | 2019.04.03 |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카카오뱅크 입출금 계좌 개설방법 (0) | 2019.04.02 |
[월급으로 1억 종잣돈 모으기] #4 통장쪼개기로 효율적으로 종잣돈을 모으자 (0) | 2019.04.01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