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투자의 귀재 "워렌버핏"은 일반투자자들에게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라고 이야기하는데요.
워렌버핏이 인덱스 펀드를 일반투자자들에게 추천하는 이유는 단순했습니다. 액티브 펀드보다 인덱스펀드의 수익률이 더 안정적이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점이었습니다. 액티브 펀드는 펀드매니져들이 직접 운용을 해야 하다 보니 펀드 수수료가 많이 들지만 주가지수에 투자하는 인덱스펀드는 수수료 등 비용이 적게 들어 수익률이 더 높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인데스펀드 VS 액티브펀드
인데스 펀드에 대한 워렌버핏의 일화를 하나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007년 워렌버핏은 앞으로 10년을 두고 본다면 미국 주가지수인 S&P 500 지수 수익률이 헤지펀드를 앞설 거라며 내기를 걸었습니다. 이에 미국 헤지펀드 회사인 프로티지 파트너스가 펀드매니저의 자존심을 지키겠다며 워렌버핏의 내기에 응했는데요. 당시 판돈으로 각각 32만 달러(약 3억원)를 걸었습니다. 이를 미국 국채에 투자해두고 10년 후 약 50만 달러가 되어 있을 판돈의 합인 100만 달러(약 10.6억)를 승자가 지정한 자선단체에 기부하기로 했죠. 여기서 헤지펀드란 소수의 투자자에게 투자금을 모아 공격적으로 투자하여 수익을 내는 펀드를 말합니다. 이 내기는 2008년 1월 1일에 시작해서 10년 동안 진행했는데요. 10년이 지난 후 결과는 어땠을까요? 인덱스펀드의 압승이었습니다.
워렌버핏이 선택한 S&P500 펀드의 수익률은 85%의 수익률로 연평균 7.1%라는 수익률을 달성한 반면에 프로티지 파트너스가 선택한 5개의 헤지펀드 평균 수익률은 연평균 2.2%에 그치고 말았습니다. 세부적으로 더 들어가 보면 5개의 헤지펀드 중 3개는 10년 총수익률이 한자리수를 기록하여 인덱스펀드 총수익률에 한참을 못미치는 성과를 냈다고 합니다. 결국 2017년 12월 29일 워렌버핏의 승리가 확정이 되고 워렌버핏이 지정한 걸스 오브 오마하라는 자선단체에 판돈을 기부하였습니다.
인덱스펀드가 좋은 이유
단기적으로 보면 인덱스펀드가 좋은 투자처가 되기 힘들겠지만,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인덱스펀드는 안정적인 수익을 얻기에 좋습니다. 인덱스펀드는 어떤 특정한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투자자는 시장 전체의 평균 수익률을 가지고 갈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펀드운용 보수나 수수료가 저렴하다는 점도 빠실 수 없죠. 따라서 평균적인 수익을 안정적으로 얻길 원하시는 분들이라면 안정적인 수익은 물론 수수료까지 저렴한 인덱스펀드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적합한 투자처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물론 투자의 선택은 여러분 본인이 결정하시는 거 알고 계시죠? :) 모두 성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까지 긴글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오늘 하루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댓글, 공감, 구독은 이 블로그를 지속하는 힘입니다 :) 감사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내가 생각하는 인덱스 펀드 장점 (0) | 2019.04.14 |
---|---|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20대 대학생/사회초년생 적금 추천 카카오뱅크 (0) | 2019.04.13 |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내가 생각하는 카카오뱅크 장점 3가지 (0) | 2019.04.09 |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인덱스 펀드란? 장단점 및 활용법 (0) | 2019.04.07 |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나도 도전!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챌린지 (0) | 2019.04.06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