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티끌모아건물입니다. 이번 포스팅 주제는 "1인가구 증가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영향은?" 입니다. 저출산, 고령화, 비혼 등으로 인해서 1인 가구의 증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그에 따라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변할까요?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첫번째는 가구 구성 비율입니다. 위 그래프를 보면 1인, 2인 가구의 증가가 계속되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는데요. 2045년이 되면 1인, 2인 가구의 비율이 70%를 넘습니다. 1인, 2인 가구는 상대적으로 소규모이기 때문에 3인 이상의 가구에 비해 소형주택을 많이 선호하게 됩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소형주택의 수요가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라이프스타일 측면에서 고려해보겠습니..
안녕하세요 여러분 티끌모아 건물입니다. 이번 포스팅 주제는 인구 감소에 따른 집값의 영향은? 이라는 주제인데요 뉴스나 신문, 유튜브 등 많은 매체에서 "인구감소로 집값이 폭락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또 혹자는 인구감소로 향후 몇년안에 집값이 폭락 할 수도 있다는 이른바 집값 폭락론을 들고 오기도 합니다. 간단히 생각해보면 인구 감소에 따라 집의 수요가 줄고 빈집이 늘어나니 자연스럽게 공급은 증가해서 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집값이 떨어질것 같은데요. 과연 정말 그럴까요? 우리는 먼저 "인구"와 "가구"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야합니다. 인구는 말그대로 사람 한명한명을 이야기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인구는 5천만명이다 같은 것이죠 하지만 가구는 사전적 의미로 "현실적으로 주거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