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오늘은 지출통장 혹은 용돈통장 관리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이야기에 앞서 저를 모르시는 분들이 있을것 같아서 간략히 소개드리면 저는 월급으로 4년만에 1억을 모아 현재는 소형아파트를 구매해 월세를 받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지출통장을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통장쪼개기를 먼저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월급통장, 지출통장, 비상금통장, 투자(적금)통장 이렇게 4가지로 쪼갤 수 있죠. 통장쪼개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저의 다른 포스팅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출통장을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3가지가 필요합니다. 1. 통장에 한달용돈만 넣어두고 써라. 첫째로 통장에 한달용돈만 넣어두고 써야합니다. 주변에 보면 지출통장에 혹시 모를일을 생각해 한달용돈보다 많..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저는 펀드 투자도 하고 있는데요. 제가 하고 있는 펀드 투자가 바로 인덱스 펀드 투자입니다. 아직 투자수익률이 높진 않지만 마이너스는 아니어서 다행인 거 같아요. 아무튼 오늘은 인덱스 펀드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인덱스 펀드란 무엇인가? 아마 주식투자나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인덱스 펀드에서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인덱스(Index)"를 영어사전에서 검색하면 첫번째로 나오는 뜻이 바로 "지수"입니다. 해석하면 지수 펀드라는 뜻인데요. 조금 더 풀어서 설명을 드리면 "지수에 투자하는 펀드"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 그럼 "지수"는 뭘까요? 뉴스에서 항상 나오는 코스피 지수, 코스닥 지수, 다우지수, 나스닥 지수 이런..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카카오뱅크에는 꽤 재미있는 적금 상품이 있는데요. 바로 함께해서 재미있는 26주 적금 챌린지입니다. 이름부터가 재미있지 않나요? 간단히 설명해 26주 동안 적금을 하는 상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지금부터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해서 재미있는 26주 적금 챌린지 우선 개설 방법은 카카오뱅크 자유적금 개설 방법과 비슷합니다. 적금 개설 방법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카카오뱅크 자유적금 개설 방법 [직접 해보고 쓰는 재테크 이야기] 카카오뱅크 자유적금 계좌 개설방법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오늘은 카카오뱅크 자유적금 계좌개설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카카오뱅크 적금계좌 개설은 상당히 간단한데요. 어떻..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저는 머리를 자를 때 3년 동안 꾸준히 가고 있는 단골 미용실로 향합니다. 그 미용실엔 제 머리를 항상 잘라주시는 선생님이 계시죠. 꾸준하게 가다 보니 미용실에 계신 대부분의 직원분들이 저의 얼굴을 기억하시고 제가 미용실을 갈때면 그동안 별일 없었냐는 인사말과 함께 반겨주십니다. 처음 몇번 갈 때는 안 주시던 커피나 아이스티도 주시죠. 제 머리에 대한 조언도 아낌없이 해주시고요. 한 번은 급하게 머리를 잘라야 할 일이 있어서 거의 마감시간에 연락을 드렸는데요. 선생님께서 싫은 내색 없이 머리를 너무나 잘 잘라주시기도 하셨죠 :) 정말 감사했습니다 선생님 :) 단골 미용실은 저에게 다른 미용실보다 많은 혜택을 줍니다. 그리고 저는 단골미용실 선생님을 믿고 제 머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남자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가보셨을 군대 대학교에서 3~4시간짜리 연강 결혼식 주례사 교장선생님 훈화말씀 이 4가지의 공통점은 뭘까요?? 바로 언제 끝날지 모르는 막막함과 지루함인데요. 이런 막막함과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군대에는 휴가가 있고 수업시간에는 쉬는 시간이 있죠. 결혼식 주례사와 교장선생님 훈화 말씀엔 쉬는 시간이 없다 보니 점점 간소화되는 추세인 듯싶네요.ㅎㅎ 제가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적금 납입기간에 대해 말씀드리기 위해서입니다. 시중은행의 모든 적금상품을 보시면 이자가 높으면 높을수록 납입기간이 긴 걸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조금이라도 더 높은 이자를 받기 위해 3년 만기 적금 혹은 그이 상의 적금을 가입하곤 하죠. 적금 만기일을 못 채울걸..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재테크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으신 분들은 통장 쪼개기에 대해서 정말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번에는 효율적으로 종잣돈을 모으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통장 쪼개기를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통장 쪼개는 방법도 사실 사람마다 다 달라서 정답이 없습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게 쪼개시면 되는데요. 이렇게 말씀드리면 너무 무책임한 거 같아서 예시로 저만의 통장 쪼개기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드리려고 합니다. 우리의 수입과 지출은 크게 고정수입, 고정지출(저축 포함), 비정기 수입, 비정기 지출 4가지로 나뉜다고 말씀드린 적이 있었는데요. 이 4가지를 적절하게 나누시면 됩니다. 바로 월급통장, 지출통장, 적금통장, 비상금 통장입니다. 한 달에 약 270만 원의 월급(고정수입)이 ..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월급에 70% 이상 또는 50% 이상은 저축해라. 본인 나이에 맞춰 소비 비율을 정하고 나머지는 저축해라 등등 블로그나 유튜브에서 많은 사람들이 월급으로 종잣돈을 모으기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는데요. 제가 종잣돈을 모아본 경험으로 봤을때, 사실 정답은 없습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게 저축을 하면 되는거죠. ㅎㅎ 너무 뻔한 이야기 인가요? 각자의 상황에 맞게 저축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쉬운 것 같지만 가장 어려운 일입니다. 바로 본인의 재무상황을 누구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본인의 재무상황을 파악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쉬운 것 같지만 가장 어려운 일이죠. 특히 2~30대 사회초년생분들은 수입과 지출을 파악하지..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각하는 GDN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입사 이후 사회초년생이었던 저의 재무상황에 대해서 보여드리고 제가 어떻게 그리고 왜 4년에 1억이라는 목표를 세우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여러분들께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저의 실제 예시를 통해서 여러분들이 종잣돈을 모으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 고정수입 - 월급 : 270만원 ± a ○ 고정지출(총 25만원) - 핸드폰요금 5만원 - 관리비 8만원 - 출퇴근 교통비 12만원 ○ 비정기 수입 : 없음 ○ 비정기 지출 : 경조사비 5만원 ~ 10만원 이게 입사 당시 저의 재정상황이었습니다. ㅎㅎ 입사 직후서 그런지 고정지출이 25만원밖에 안되네요.ㅋㅋ 저도 돌이켜보면서 조금 놀랐습니다. 너무 간단해서요 ㅋㅋ 역시 소비가 커지기 전에..
- Total
- Today
- Yesterday